대출을 받았다면 대출금을 갚을 때도 똑똑하게 갚아야 하겠지요.
주택담보대출과 같이 큰 금액의 대출을 받았을 때는 갚는 데도 오랜 기간이 걸립니다. 그래서 대출 받을 때 몇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요. 원금균등상환, 원리금균등상환, 만기일시상환 이렇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대출금을 상환하는 방법 3가지를 가단히 설명하자면
만약에 5년(60개월)동안 대출금을 갚는다고 가정할 때, '원금균등상환' 방식은 원금만 60개월로 나눠서 매달 갚아나가는 형식이고,'원리금균등상환'은 원금과 이자를 60개월로 나눠서 매달 갚는 방식이며 '만기일시상환'은 60개월 동안은 이자만 갚아 나가고 원금은 만기 때에 갚는 방식입니다.
원금균등분할상환
원금균등분할상환은 위 3가지 방식 중에서 이자를 가장 적게 내는 방법입니다. 말 그대로 원금을 매달 똑같이 나눠서 갚는다는 뜻으로 원금(실제 대출금액)을 처음부터 갚아나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대출자가 내야 할 이자가 점점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억을 연 금리 4%로 3년 동안 빌릴 경우, 원금을 매달 똑같이 나누어서 내기 때문에 원금 1억에 대하여 36개월로 나눈 약 278만 원을 매월 갚아야 하는데요. 쉽게 계산하기 위해서 300만 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첫 달에는 원금이 1억이지만, 두 번째 달의 원금은 9,700만, 그 다음 달에는 원금이 9,400만,
이런 식으로 원금이 점점 작아지게 됩니다.
연 4%로 대출금리는 똑같지만 원금이 줄어들면서 매달 내야하는 이자도 같이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첫 달에는 원금 1억에 대한 4%의 이자가 계산되지만, 두 번째 달은 9,700만, 세 번째 달은 9,400만 원에 대한 이자가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다른 방식에 비해서 초기에 갚아야 할 금액이 많기 때문에 여유자금이 있는 경우에 추천합니다. 당장 원금까지 함께 갚을 만한 여유가 없다면 원리금균등분할상환도 차선책으로 좋은 방법입니다.
원리금균등분할상환
원리금균등분할상환 방식은 빌린 금액 1억과 그에 대한 이자를 합하여 36개월로 나눈 금액을 매달 똑같이 갚아나가는 방식입니다. 원금균등분할상환보다는 이자를 조금 더 내게 되지만, 매달 갚는 금액이 같기 때문에 돈을 좀 더 계획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오랜 기간 대출을 갚아나갈 때는 이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만기일시상환
만기일시상환은 3년 동안 이자만 매달 내다가 마지막에 원금 1억을 갚는 방식입니다. 3년 동안 원금 1억에 대해서는 전혀 갚지 않았기 때문에 계속 이자가 1억에 대해서 붙게 되는데요. 그래서 이자를 가장 많이 내게 되는 상환 방식인 것입니다.
대출자 본인이 낸 총 이자만 따졌을 때는 가장 부담이 크지만, 원금을 갚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단기간에 많은 돈을 낼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만기일시상환 방식은 일반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아닌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때에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대출금을 상환하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일반적으로 택하는 방법이 아닌, 무엇보다 본인의 경제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머니더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컷슬린 포 다이어트 3월9일 캐시워크 정답 (0) | 2023.03.09 |
---|---|
3월7일 캐시워크 정답/노티프 콜라겐,신한마이카 봄맞이 핫딜,소휘 스테디자임,픽스 휴대용 녹음기 (0) | 2023.03.07 |
LTV와 DTI란? / 주택담보대출과 대출금리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03.10 |
중도퇴사자와 이직자를 위한 연말정산 방법 알아보기.. (0) | 2021.12.21 |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인적공제 요건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1.12.21 |
댓글